2007년 | 3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창립기념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복지관 중강당
|
"범죄와 형벌 : 유전과 환경의 변증법"
|
4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2차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호연관 강당 |
"교정과 미술치료 : 성폭력 수형자 사례연구"
|
5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3차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국제회의실 |
"미쉘푸코와 교정의 만남 : 감옥의 역사"
|
10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4차 학술대회
| 서강대학교 김대건관 101호 |
"교정학 담론의 인문학적 모색"
|
-1주제 :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을 위한 시론
|
-2주제 : Denmark is a Prison:셰익스피어 연극에서의 범죄와 형벌, 그리고 교정
|
-3주제 : 교정인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
|
11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5차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국제회의실 |
"재소자 자살방지를 위한 이념형적 제안" |
2008년 | 3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6차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호연관 강당
|
"종교와 교정: 교정현장에서의 체험과 제안"
|
-1주제 : 시설내 처우 : 문제수용인들의 교화사례 및 대처방안
|
-2주제 : 출소 후 지원 : 출소자의 집 운영사례 및 발전방향
|
5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 제7차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복지관강당
|
"한국 교정학의 윤리학적 담론 모색"
|
-1주제 : 윤리학적 교정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시론
|
-2주제 : 교정과 목민심서 : 현대 형사법에의 시사점
|
-3주제 : 교정과 삼국유사 : 善을 찾아가는 사람들
|
10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8차 학술대회 (2008인문주간행사)
| 수원구치소 교총회관 경기대 여주교도소
|
"셰익스피어 연극과 교정인문학"
|
-6일 : 공범으로서 우리의 회개
|
-7일 : 교정학의 인문학적 모색
|
-8일~10일 : 사진, 미술 그리고 교정
|
사진전시회-미셸 푸코의 시선: 담과 벽
|
해설이 있는 미술치료 수용자 그림전시회-그림으로 본 성폭력의 치유
|
-9일 : 영화를 통해 나타난 감옥과 인간의 의미
|
-10일 : 연극이 있는 교도소- 셰익스피어 "햄릿"
|
12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9차 학술대회
| 교총회관 |
"여자비행청소년의 성적 학대피해 경험과 치유: 한국과 대만 사례"
|
제1주제: 여자비행청소년의 성적 학대 경험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
|
제2주제: 여자비행청소년의 학대치유 프로그램의 방향
|
제3주제: Child Sexual Abuse, "Lack-of-Love" Syndrome and Treatment |
2009년 | 6월 | 「아시아 교정포럼」제 10차 학술대회(한국행정학회 공동학술대회)
| 한국정보 사회진흥원 |
"북한사회의 이해: 범죄와 교정"
|
-제1주제: 북한범죄 실태와 보안(경찰)기관의 대응책
|
-제2주제: 북한 사회의 특성과 북한 청소년의 일탈행동
|
-제3주제: 북한의 형사법과 형집행제도
|
-제4주제: 북한의 구금시설 및 행형제도에 관한 고찰
|
9월 | 아시아교정포럼 학술워크샵
| 청송제 3교도소 |
"사회보호법의 허와 실" |
2010년 | 5월 | 제12차 아시아교정포럼 학술세미나
| 중원청소년 수련관 |
사형수의 삶: 교정의 길인가, 죽음의 길인가
|
-제1주제: 사형수의 시설내 관리와 처우
|
-제2주제: 죽음의 형(刑)이 교정의 완성인간?
|
-사례발표: 한국에 있어서 종교교도소의 가능성: 소망교도소 사례를 중심으로
|
-제3주제: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종교의 역할
|
11월 | 제13차 아시아교정포럼 공동학술대회 (아시아교정포럼, 한국직업능력개발원, 서울지방교정청 공동주최)
| 화성 직업훈련 교도소 회의실 |
수형자의 직업훈련과 사회복귀
|
제1부
|
-제1주제: 수용자 직업훈련과 출소자 취업연계 방안
|
-제2주제: 수용자 직업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|
-제3주제: 직업훈련과 교도작업: 형벌인가? 처우인가?
|
제2부
|
-제1주제: 호주교정의 수형자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의 현실태
|
-제2주제: 출소자 고용지원, 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
|
-제3주제: 출소전후 취업 및 창업지원 연계 필요성
|
-제4주제: 우리나라 기술교육과 수형자 취업연계 방안 |
2011년 | 6월 | 제14차 아시아교정포럼 학술대회 (아시아교정포럼, 천주교사회교정사목위원회, 경기대 교정보호학과)
| 경기 대학교 중앙 세미나실 |
교정에서의 윤리문제와 사회적 기업의 역할
|
-제1주제: 교정윤리 강령의 윤리적 기초와 모형 구축 시안
|
-제2주제: 교정공무원의 기능적 역할과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-막스 베버(Max Weber)의 '관료주의적 합리성' 개념에 대한 비판적 담론을 중심으로
|
-제3주제: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방향: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의 기본 이미지를 중심으로
|
-제4주제: 출소자 창업지원사업: "기쁨과 희망은행"의 현황과 문제점
|
11월 | 제15차 아시아교정포럼 학술토론회 ((사)아시아교정포럼, (주)SMEC,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주관)
| 서울 강남 COEX 컨퍼런스홀 |
교정보조 서비스 로봇 개발과 교정과학의 미래
|
-제1발표: 교정보조 서비스 로봇 개발의 현황
|
-제2발표: 교정의 과학화와 교정로봇 개발에 대한 교정공무원의 인식 조사
|
-제3발표: 교정처우의 과학화를 위한 영상처리 기술의 미래 |
2012년 | 3월 | Asian Forum for Corrections 2012 아시아교정포럼 국제회의 ((사)아시아교정포럼, 한국전자통신연구원, (주)SMEC 공동주관)
| COEX International Hotel, Diamond Hall, Seoul, Korea. |
"교정에서의 과학기술과 휴머니티의 결합" "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Humanity in Corrections"
|
-기조연설: 교정발전을 위한 아시아국가 연대 "Asian Networking in Corrections"
|
-공동선언 서명식: 아시아교정포럼 2012 공동선언 "Asian Forum for Corrections 2012 Declaration"
|
-제1발표: 교도관 보조로봇 개발현황 "The Prison Robot in Korea"
|
-제2발표: 바이오메트릭 교도소: 수형자와 교도관 추적장치의 발전 "The Biometric Prison: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racking Inmates and Staff"
|
-제3발표: 감옥 관리의 정보화: 도전과 대응 "China's Prison Information Management:: Facing the Challenges and Answers"
|
-제4발표: 교정에서의 종교의 역할 "Religious Activity in Prison in Japan"
|
11월 | 제16차 (사) 아시아교정포럼 추계 공동학술대회(아시아교정포럼. 경기대 산업기술정보특화센터)
| 동국대학교 명진관 |
범죄예방에서 테크놀로지와 인문학의 만남
|
-제1주제: 교정행정에서 과학기술의 사용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
|
-제2주제 : 교정시설에서 첨단보안시스템의 현재와 미래
|
-제3주제 : 최신 IT 기술을 융합한 사회안전망구축
|
-제4주제 : 교정과 로봇사용의 연관문제: 소통 안에서 '구술적 감성'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|
2013년 | 6월 | 제 17 차 (사)아시아교정포럼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중앙 세미나실 |
"사회 안전"과 교정의 역할
|
제1주제: 사회갈등과 범죄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
|
제2주제: 출소자의 성공적 사회복귀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
|
제3주제: 고위험군 범죄자 관리를 위한 다기관 협력체계 구축
|
12월 | 2013 아시아교정포럼 추계 학술대회
| 경기대학교 중앙 세미나실 |
청소년범죄의 예방을 위한 교정의 역할
|
-제1주제: 학교폭력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- 회복적 사법의 활용
|
-제2주제: 성매매 아동 청소년 처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
|
-제3주제: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범죄예방: 사회적 불건강 예방 및 건강증진에 대한 재고 |
2014년 | 6월 | 사)아시아교정포럼 2014 춘계학술대회
| 법무연수원 교정연수부 |
문화예술, 범죄 그리고 사회적 기호-영화와 미술작품에 나타난 범죄의 사회적 의미
|
-제1주제: 영화 속에 나타난 범죄의 사회적 의미-근대국가체제 국민보호 기능분석을 중심으로
|
-제2주제: 벗겨진 가족, 벗겨진 죄-미술작품에 나타난 죄와 벌'
|
-제3주제: 범죄에 대한 오해와 진실: '그 놈이 그 놈이다'
|
11월 | 제18차 (사)아시아교정포럼 주최 공동추계학술대회 (인문교정연구소, 한국관광연구학회, 작곡악회 비젼-씨 공동주최)
| 서울소년원 대강당 |
오감(五感)의 회복을 통한 비행청소년의 치유
|
-제1주제: 비행의 몸적 이해와 부드러운 움직임을 통한 회복
|
-제2주제: 선별된 악기연주 및 앙상블을 통한 비행청소년들의 음악적 치유
|
-제3주제: 조리교육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함양과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 |
2015년 | 4월 | 제21회 (사) 아시아교정포럼 춘계공동학술대회 (수원시. 경기대 인문학연구소, (사)아시아교정포럼)
|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9강의동 |
나눔의 인문학: 교정과 정의(正義)
|
제1부: 정의와 인문교정의 이론
|
-제1주제: 롤즈의 분배적 정의와 교정 이념
|
-제2주제: 레비나스의 이웃과 교정 정의
|
-제3주제: 인문교정 안에서 정의의 문제
|
제2부: 정의와 인문교정의 실천
|
-제4주제: 나눔의 미학-미술치료를 중심으로
|
-제5주제: 교화수단으로서의 종교: 효과적 접근 전략과 의의-소망교도소 교화모델을 중심으로
|
11월 | 2015년 공동학술세미나 (한국형사정책연구원. (사)아시아교정포럼)
| 한국교원 단체 총연합회 다산홀
|
교정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접근
|
-제1주제: 분노조절에 대한 가상현실인지행동 프로그램의 개발
|
-제2주제: 성범죄자 심리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성과: 남부교도소를 중심으로
|
-제3주제: 인문교정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|
2016년 | 5월 | (사)아시아교정포럼 천주교사회교정사목위원회 공동춘계학술대회
|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체실리아 홀 |
인문학과 더불어 2016, 교정을 생각하다
|
-제1주제: 교정 과정 안에서 본 문학의 역할과 그 의미
|
-제2주제: 수용생활 적응에 대한 종교의 조절효과
|
-제3주제: 주역(周易)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문교정(人文矯正)
|
-제4주제: 박탈공간으로서의 교정시설: 박탈에서 회복으로
|
11월 | 아시아교정포럼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(태국법무원구원 공동 주최)
| 경기대학교 종합강의동 |
아시아 지역 여성수형자의 처우와 전망 "Women Offenders, Criminal Justice Responses and Capacity Building in Asia"
|
-제1주제: 한국 여성수형자 처우 현황과 과제 "The treatment and challenge of Korean woman prisoners"
|
-제2주제: 여성수형자의 어머니됨의 경험 "The experience of being a mother of woman offender - focus on child-raising inmate in prison"
|
-제3주제: 동남아시아에서의 여성수형자: 그들의 특징과 범죄경로 "Women prisoners in Southeast Asia: Their profiles and pathways to prison"
|
-제4주제: 여성을 고려한 사법을 향하여: 동남아시아에서의 여성대상 폭력에 관한 쟁점 "Towards Gender Sensitive Justice: Critical Issues on Violence against Women in Southeast Asia" |